- 신제품(NEP)인증 제품 신제품(NEP)인증 제품
(주)바이더엠
멜라노픽 조도 최적화를 위한 스펙트럼 변환 광학필름 적층구조 모듈을 적용한 LED 등기구
본 제품은 QD 나노소재로 필름 및 사출제품의 광학부재 소재화 기술을 통해 조명의 사용 장소에 따라서 적합한 광의 파장과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광요소 제어가 가능하다. 광 스펙트럼 변환과 색온도 변화 및 연색성이 향상되었고, 유해한 파장은 강도를 줄이고 이로운 파장은 강도를 높이는 스펙트럼이 구성됐다.

특징
① 조명의 시각적요소 외에 비시각적요소 성능 개선
② 직접조명방식은 Ra85.1 → Ra91.8로 7.89%, 간접조명방식은 Ra81.5→Ra91.4로 12.15%로 향상
부문 : 전기·전자
주 생산품 : LED등기구, LED램프
인증기간 : 2023년 5월 17일 ~ 2026년 5월 16일

(주)엘앤디테크
지향각이 조절된 LED PKG와 스넬의 법칙이 적용된 LENS를 활용한 에너지 절감형 전광판
LED 모듈장치를 이용한 LED 전광판으로 에너지 절감을 극대화한 발광 기술을 사용했다. PKG와 빛 반사판을 융합시킨 입체 구조 LED소자를 통해 불필요한 빛 방출을 제어하고, 하프돔 형태 LENS를 통해 상부광을 차단해 눈부심 문제를 해결했다.

특징
① PKG 양산 시 0.05㎜의 이격거리를 형성하여 wire 돌출 및 휘도편차, 지향각 불균형 등의 문제 개선
② 50m 거리에서 광도달량 측정 시 원거리에서의 효과 보유
③ 기존 제품 대비 소비전력은 약 46.1% 절감, 휘도는 약 16.5% 향상
부문 : 전기·전자
주 생산품 : LED 전광판, LED 모듈, LED
인증기간 : 2023년 5월 17일 ~ 2026년 5월 16일

(주)듀오픽스레이
자동화 검사를 위한 비정질 실리콘 고해상도 동영상 엑스레이 디텍터
본 제품은 3세대 엑스레이 영상센서와 이를 최적으로 구동하고 디지털 영상화하는 구동회로·하드웨어·소프트웨어 기술로, 제로 수준의 Dark 값을 유지하고 높은 감도의 영상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Fill The Max”라는 고개구율 영상센서 설계 기술과 공정기술을 적용하여 기존 대비 더 높은 포토다이오드 유효면적을 구현했다.

특징
① 73㎛ 픽셀 크기임에도 초당 50 프레임의 초고속 동영상 엑스레이 영상
② 3세대 TFT 영상센서를 기반으로 기존 디텍터 대비 높은 감도·해상도를 확보
부문 : 전기·전자
주 생산품 : 엑스레이 디텍터(산업용-의료용)
인증기간 : 2023년 5월 17일 ~ 2026년 5월 16일

성신전기공업(주)
위상기반 주파수 적응형 고조파 저감 기술을 적용한 무정전전원장치(75㎸A 이하)
본 제품은 무정전전원장치의 출력전압 THD를 2 % 이하로 저감하는 위상기반 반복제어기술이다. 입력 혹은 비상전원의 주파수가 변동하여도 입력전류 THD를 2% 이하로 유지 및 제어하는 다중노치필터 기반의 입력전류 고조파 저감이 가능하다.

특징
① 비선형 부하 조건에서도 입력전류 및 출력전압 THD를 2 % 이하로 유지
② 메모리제어기를 통해 전원의 위상을 실시간으로 추정하여 반복제어기의 오차 저장 시점과 동작 주기 조절
부문 : 전기·전자
주 생산품 : 무정전전원장치(UPS)
인증기간 : 2023년 5월 17일 ~ 2026년 5월 16일

(주)솔지
건조 질소를 이용한 회전 디스크형 수분 제거 정유기
본 제품은 다공성 멤브레인 필터를 이용해 선택적 투과에 의한 건조 질소 퍼징 시스템을 통해 건소 질소를 생성한다. 윤활유와 건조 질소의 접촉면적을 넓혀 수분제거 효율을 극대화했고, 고점도 오일을 포함한 모든 종류 오일에 적용 가능하며, 3가지 형태(자유, 유화, 용해)의 모든 수분을 제거 가능하다.

특징
① 수분 제거 및 진공에 의한 첨가제 소실 및 가열로 인한 오일 열적열화를 예방
② 터빈유의 잔류 수분 함량 50ppm 이하로 점도가 높은 오일의 수분 제거
부문 : 기계·소재
주 생산품 : 산업용 여과기
인증기간 : 2023년 5월 17일 ~ 2026년 5월 16일

부림산기(주)
건식발포 기술이 적용된 건축 외장재용 대면적 발포유리 보드(1,200X600X30㎜ 이하)
본 제품은 성형몰드 내 용융 발포유리의 최적 유동성 및 발포 안정성을 고려한 성형몰드 설계기술 확보를 통해 대면적 발포유리 보드 상업화 제조가 가능하다. 발포 공법 개선(습식발포 → 건식발포)에 따른 양산화 기술을 실현했다.

특징
① 무기소재의 특성을 활용한 불연 건축자재로 화재에 안전하며, 유리섬유와는 다른 고형의 형태로 처짐 현상이 없음
② 전기 사용 대비 연료 비용을 2~30% 절감 가능하고 900℃ 이하로 저온 소결 공정이 가능
부문 : 건설·환경
주 생산품 : 무기물 발포유리 내외장재
인증기간 : 2023년 5월 17일 ~ 2026년 5월 16일
- Vol.465
24년 05/06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