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R52 장영실상 2024년 수상제품(17주~28주)
17주 - 삼성전자(주)
Galaxy Z Flip5
김진만, 이형철, 정덕원, 이호원 수석연구원이 개발한 Z Flip5는 컴팩트한 폴더블 스마트폰으로 4nm 공정의 최신 AP를 적용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AI 기반 폴더블 특화 카메라 촬영 경험을 제공한다. 또한, 3.4인치로 확장된 커버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손쉽게 위젯 및 앱을 사용할 수 있고, 다양한 커스터마이징 옵션을 제공하여 사용자 개성에 맞는 꾸미기가 가능하다.
18주 - 프로티아(주)
애니첵 보바인(Bovine) 아이지지(IgG)
김정연, 박은지 책임, 장준원 선임이 개발한 애니첵 Bovine IgG 제품은 소 초유 또는 혈액 내 면역글로불린-지(IgG)의 농도를 측정하는 '동물용 체외진단 의료기기'다. 송아지는 태어날 때 면역력이 없는 상태로 태어나, 어미 소의 초유를 섭취함으로써 생존에 필요한 면역력을 획득한다. 해당 제품은 많은 초유를 선별하여 공급할 수 있으며, 송아지의 면역물질 획득 상태를 확인하여 생존율을 높이고 질병 발생률을 낮춘다.
19주 - 엘지전자(주)
Agitator Top loader 세탁기
김영종 연구위원, 이선호 책임연구원, 김동철 선임연구원이 개발한 세탁기는 세탁 시간이 빠른 기존 Pulsator 세탁기의 장점과 포 마모가 낮은 낙차 방식의 Drum 세탁기 장점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삼중 나선형의 Agitator 형상 제품이다. LG전자만의 모터 제어 기술로 세탁 모션 기술을 접목시켜 세탁물을 4개의 방향에서 입체적으로 세탁한다. 기존 Agitator 세탁기에서 고객들이 경험해 왔던 고충점을 극복했다.
20주 - 퍼즐에이아이(주)
음성에이아이(AI) 기반 생성형 의무기록 통합 솔루션
황지욱 연구소장, 정지원 수석연구원, 허치영 책임연구원, 김도현 연구원이 개발한 AI 기반 생성형 통합 솔루션은 의료용 음성인식 인공지능 엔진을 탑재해 외래진료, 영상판독, 간호, 수술실 등 다양한 환경에서의 의료기록 업무와 의료사고를 예방하고 현장 안전 진료를 지원하는 인공지능 통합 솔루션이다. 이를 통해 의료진의 업무를 언제 어디서나 신속하고 편안하고 안전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21주 - 코스맥스(주)
피부 유효성 향상 양이온 리포좀 화장품
박천호 부원장, 이준배 상무, 김수지 책임연구원이 개발한 양이온 리포좀 화장품은 피부 유효성 향상을 위한 버섯 유래 키토산 기반 제품이다. 음전하를 띠는 피부표면과 양전하를 띠는 리포좀과의 정전기적 상호 작용을 이용하여 효능성분의 피부흡수 증진을 통해 피부 유효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비교 임상 평가를 통해 피부 밝기는 1.7배 증가, 멜라닌은 2.5배 감소한 미백 효과를 보여주었다.
22주 - (주)유엔디
피부 유효성 향상 양이온 리포좀 화장품
이철수 연구소장, 이현성, 김상진 수석연구원이 개발한 맥봇 로봇 자동 툴체인져는 스위칭 마그네틱 기술 기반 세계 최초의 완전 무선 로봇이다. 외부 전원 및 공압선이 전혀 필요 없는 툴 교체 시스템을 갖추었다. 이를 통해 <세계 최초 완전 무선 로봇 자동 툴체인져>라는 타이틀을 얻었고, 이와 더불어 협동로봇 전 세계 1위인 유니버셜 로봇의 UR+ 인증을 획득했다.
23주 - 엘지전자(주)
이차전지의 생산성 및 안정성 향상을 위한 신규공법이 적용된 다이렉트 스태킹(Direct Stacking) 장비
김성철 책임연구원, 정대화 생산기술원장, 김용성 선임연구원이 개발한 제품은 이차전지(자동차 배터리) 생산 공정 중 단위 Cell을 컷팅, 적층하는 장비다. 배터리 안정성 향상을 위한 고속 Cell 열압착 장치와 생산성 향상을 위한 다이렉트 스태킹 장비이기도 하다. 복수 Stage의 교번 생산을 통한 무정지 생산 기술로 재료의 교체, 양품 배출 등으로 발생하는 Loss를 Zero화했다.
24주 - 현대제철(주)
엘엔지(LNG) 저장탱크용 -170℃ 보증 초저온 철근
정준호 책임연구원, 이주상 전임연구원, 김록석, 정진 책임매니저가 개발한 초저온 철근은 국내 최초 개발로 국산화를 이룬 제품으로써, LNG 저장 탱크 외벽의 건축 구조용 안전 강재이다. 국내 철근 제품군 최초로, Ni/Mn 복합 첨가 기술을 적용하여 상온뿐만 아니라 초저온(-170℃)의 품질을 동시에 획득했다. 액화온도 –162℃의 LNG 누출 발생 시에도 건축물의 급작스런 붕괴를 방지하여 사회 안전을 확보했다.
- Vol.466
24년 07/08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