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기술(NET)인증 기술 신기술(NET)인증 기술
(주)양수금속
분말야금법과 냉간단조법을 이용한 원터치 인서트 제조 기술
본 기술은 절삭가공 없는 분말 야금법과 후가공 없는 냉간단조법으로 제조원가를 낮춘 원터치 체결구조로, 작업 효율성을 향상하고 공사비를 절감한 내진 인서트 개발 기술이다. 콘크리트용 인서트의 내진 성능시험 기준인 「ICC-ES AC446」에 따른 모의 지진 인장시험과 전단시험으로 내진설계에 사용이 가능하다.
특징
① 절삭가공 및 후가공 없이 제조된 ‘인서트하우징’과 ‘L/R 콜릿(Collet)’으로 구성된 원터치 체결구조
② 볼트 혹은 너트를 회전 조립하는 기존 기술 대비 가압식(Push-in)으로 쉽게 볼트를 체결해 시공 효율성 향상 및 가격 경쟁력 확보
분야 : 건설·환경
주생산품 : 소방내진제품
인증기간 : 2024년 5월 30일 ~ 2026년 5월 29일
(주)이지다이아텍
수백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막대형 자성입자 기반 뇌세포 바이오마커(GFAP, UCH-L1) 다중 검출 및 뇌질환 진단기술
본 기술은 소재(자성입자)·부품(카트리지)·장비(구동 및 분석 자동화장비)가 모두 포함된 면역 형광 진단 기반의 플랫폼 기술이다. 외상성 뇌손상 환자로부터 채취한 혈액 중 두 바이오마커 GFAP 및 UCH-L1의 다중 정량을 통한 진단이 가능하다.
특징
① 저가의 소형 자동화 장비 내 자성입자 RSMP의 상하운동 및 웰 간(Well to Well) 움직임을 빠르고 정확하게 조절함으로써 초고감도, 다중 검지, 신속성 및 정확성 동시 구현
분야 : 화학·생명
주생산품 : 체외진단의료기기
인증기간 : 2024년 5월 30일 ~ 2026년 5월 29일
(주)거비메타
토질 및 유압장치 특성을 고려한 굴착기 작업자 훈련용 시뮬레이터 기술
본 기술은 20톤 굴착기용 실시간 통합연산 모델링과 c-Rio(또는 NI PXI)에 HILS 모델링을 탑재 및 운영하는 기술이다. 시퀀스 기반 이종 프로그램 간의 20ms 통신속도를 구현하는 TCP-IP 통신 및 가상 굴착기의 센서 융합을 통해 실시간 지형정보를 제공한다.
특징
① 실시간 통합연산 모델을 탑재한 cRIO와 가상환경, 다양한 단위 프로그램의 정보를 연계함으로써 이종 프로그램의 실시간 양방향 해석 가능
② 굴착기 조작기를 이용하여 작업할 때 조작기 정보, 지형정보, 실시간 통합연산 모델의 해석 정보 등을 통한 실시간 교차 통신 제공
분야 : 기계·소재
주생산품 : 훈련시뮬레이터
인증기간 : 2024년 5월 30일 ~ 2026년 5월 29일
(주)에덴룩스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초점 가변형 노안 개선 유체렌즈 기술
본 기술은 비침습적 방식의 광학 기술을 이용해 수정체 조절근을 자극시켜 노안을 개선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 기술이다. 초점 가변형 유체렌즈를 활용해 ‘+렌즈’와 ‘–렌즈’로 도수를 자유롭게 변화시켜, 노화로 인해 약해진 모양체근을 수축과 이완을 유도해 개선한다.
특징
① 전기자극 방식과 수축 이완 반복의 두 가지 광학적 방식을 통해 근육세포 강화 가능, 조절전자석이 조절전류를 가해 특수유체렌즈의 형상 변화
② 유체렌즈에 가해지는 중력 방향을 감지하여 중력에 의해 변경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도록 조절전류 제어
분야 : 화학·생명
주생산품 : 시력개선용 디바이스
인증기간 : 2024년 5월 30일 ~ 2026년 5월 29일
(주)티큐어
전방향 광조사가 가능한 내시경용 기능성 카테터 제조 기술
본 기술은 광섬유 표면을 정밀 가공하여 360도 방향으로 레이저를 전달하는 광 제어 기술이다. 카테터 내 냉각수를 주입하여 레이저 시술 시 조직 접촉면의 온도를 냉각한다.
특징
① 360도 방향으로 레이저 빛을 전달하여 관형 구조 표면에 일정한 에너지 전달 가능
② 카테터 위치를 관형 구조 중심에 고정하여 일정한 거리에서 낮은 출력 밀도 전달 가능, 기존 내시경 채널에 삽입할 수 있어 레이저 시술 중 직관적 사용 및 실시간 관찰 가능
분야 : 전기·전자
주생산품 : 광학 및 의료기기
인증기간 : 2024년 5월 30일 ~ 2026년 5월 29일
(주)에코란트
트리플 PIR 센서 기반 스마트 도로조명 제어 기술
본 기술은 좌측, 전면, 우측 180˚ 감지가 가능한 디바이더로 반경 3cm 이내의 3개의 PIR 센서로 위치·방향·높이를 최적화하는 기술이다. 감지 범위 중첩에 따른 센싱 오류의 방지가 가능하고, 이종의 장치(3rd party)와 연동성을 가진 API 인터페이스를 통해 센서 제어가 가능하다.
특징
① CCTV 등 이종 장치와 API를 연동하여 안전한 야간 조명환경 제공 및 스마트 도시 빅데이터 허브로 활용 가능
② 아날로그 프로토콜과 디지털 프로토콜 모두를 사용할 수 있는 일체형 센서 제어기
분야 : 전기·전자
주생산품 : 스마트 조명 제어기
인증기간 : 2024년 5월 30일 ~ 2026년 5월 29일
- Vol.468
24년 11/12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