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R52 장영실상 2025년 수상제품(1주~8주)
1주 - 세메스㈜
반도체 제조용 OHT(Overhead Hoist Transport)
김원영, 장보순 그룹장과 조태현 프로가 개발한 반도체 제조용 OHT는 반도체를 생산하는 Clean Room 내에서 웨이퍼 등이 담긴 용기(FOUP, FOSB 등)를 제조 공정 설비 간 이송하는 장치이다. 저진동 기술이 웨이퍼 진동 기준 국외 경쟁사 0.8G 대비 0.6G이며, 고속 자동화 반송이 가능하다. 지능형 시스템을 접목하여 반송량 최대화와 적시 웨이퍼 투입이 가능해져, 반도체 생산량을 극대화하였다.
2주 -㈜에스엠티
반도체 건식식각 공정장비용 파티클 이슈가 개선된 열·전기전도성 복합 개스킷
최현석 연구소장, 노치승 이사, 이종희 전임연구원이 개발한 TES-2500, 열 및 전기전도성 복합 개스킷(gasket)은 반도체 제조공정 중 반도체 칩의 수율과 품질 특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핵심 공정인 건식 에칭 공정의 드라이에처(dry etcher) 장비에 적용되는 기능성 개스킷 제품이다. 실리콘 웨이퍼(wafer)를 에칭하는 공정 중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여 상부 전극의 기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킨다.
3주 - ㈜포스코
액화천연가스(LNG) 선박용 니켈프리(Ni-free) 고강도 고망간(Mn)강
이순기, 이상철, 강명훈 수석연구원이 개발한 고망간강은 고가의 니켈을 함유한 기존 소재를 대체하기 위해 세계 최초로 개발된 신소재이다. 고가의 니켈을 값싼 망간으로 대체하여 최적의 합금 성분 및 제조 방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고망간강은 강도가 높으면서도 극저온에서 잘 파괴되지 않아, 영하 165도의 액화천연가스 이송, 저장 등의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다.
4주 - 삼성디스플레이㈜, 에이치비솔루션㈜, 엔젯㈜
EHD 기술기반 OLED 제조용 초정밀 ELB Dispensing 장비
삼성디스플레이 홍승민 PL과 문홍주 프로, 에이치비솔루션 이상식 상무, 엔젯 성백훈 전무가 개발한 본 장비는 EHD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OLED 스마트폰 및 테블릿 제품의 카메라홀과 테두리 부분의 빛샘/투습을 방지하고, 강도 개선을 위한 기능성 잉크를 정밀하게 도포하는 설비이다. 정밀한 위치에 도포하기 위해 패널 테두리를 인식하고 도포면의 높이를 추정하며, 도포 후 불량을 검출하기 위해 자동 검사를 수행한다.
5주 - 이지그룹㈜
지싸인 웨이(G-SIGN WAY), 조명식 도로 및 교통안전 표지판
김주영 개발책임자, 장원탁 연구소장, 조호연 책임연구원이 개발한 조명식 도로 및 교통안전 표지판 지싸인 웨이는 도로 이용자에게 도로 정보와 관련하여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주 목표로 한다. 원거리 정보전달과 야간 가독성이 우수하며, 눈부심이 없다는 특징이 있다. 기존 경쟁제품 대비 휘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시인성을 크게 높였으며, 소비전력도 대폭 저감하였다.
6주 - 엘지전자㈜
무급유 터보 냉난방기
이기욱, 이흥주, 유진형, 이광수 책임연구원이 개발한 무급유 터보 냉난방기는 친환경 대체냉매(R1233zd, GWP1)를 적용한 대용량 냉난방 공조 시스템에 활용된다. 미활용 열원이나 폐열원을 활용하는 냉난방 시스템으로 운영할 수 있어, 기존 R134a(GWP 1,430) 터보 냉동기 등 상업용, 산업용 화석연료 보일러를 친환경 제품으로 대체할 수 있다. 데이터센터 냉각 주요 솔루션으로 활용될 전망이다.
7주 - 지투파워㈜
Deep Learning 기반의 부분방전 감시진단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이동준 CTO, 김현주 연구소장, 박준용 주임연구원이 개발한 이 제품은 특고압을 수전하여 저압으로 변환시켜 학교, 공장, 상가, 아파트, 공항 등 건물 내의 전력공급에 사용된다. 수배전반 내 결함(고장) 시 발생하는 부분방전에 의한 고주파 전류 및 UHF 대역 전자파 신호를 감지한다. 또한 실시간 디지털 신호 처리 및 딥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부분방전 유·무 및 종류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진단이 가능하다.
8주 - 현대자동차㈜
연료전지 적용 건설장비용 수소저장용기 및 시스템
조영진, 이지훈, 이경문 책임연구원이 개발한 이 제품은 낮은 압력에서 수소의 저장을 가능하게 하는, 수소와 결합한 금속 소재를 이용한 에너지 저장 및 공급 장치이다. 기존의 압축식 기체 저장탱크 대비 저압으로 저장하기 때문에 안전성이 뛰어나다. 특히 저온/고온 및 오지와 같은 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여 물류, 건설 현장 등 다양한 산업 장비들에 활용할 수 있다.
- Vol.470
25년 03/04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