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R&D 기업의 R&D 오프쇼어링 전략, 어떻게 추진할 것인가?
R&D 오프쇼어링(Offshoring) 동향과 의미
2000년 이후 중국과 인도는 과거 저비용 제조기지에서, 새로운 성장 기회와 R&D의 혁신 기지로 진화해 왔다. 이들은 전 세계 R&D 지출의 20%를 차지할 정도로 성장하였으며, 이러한 신흥 개발국 및 동유럽 국가들은 주로 IT, 인공지능, 데이터 분석 등 미래 산업의 기반이 되는 기술 분야에 R&D 투자를 집중하고 있다. 이에 주목한 GE, Microsoft, Alphabet, CISCO, 삼성 등 다국적 기업들은 연구개발의 상당 부분을 이미 이들 지역으로 오프쇼어링(Offshoring)한 상황이다.01
우선 이러한 R&D 오프쇼어링의 장점을 간략히 정리해 보자. 첫째, 인건비 및 운영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국내 인구 구조의 변화에 의한 미래 인력 확보의 불안정성은 기업의 혁신 활동 추진에 대한 전략적 유연성을 떨어뜨린다. 그런데 해외 R&D 센터를 운영한다면 인력수급과 자원 운용의 다양성을 꾀할 수 있어, 인건비 및 운영비용 절감에 도움이 된다.
둘째, 지역별 특화 기술과 그에 연계된 시간대적인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미국 내 IT 기업들은 본국에서 당일 개발 활동을 하고, 밤사이에는 인도 R&D 센터를 통해 연계 개발 및 테스트를 진행하여 다음 날 결과를 확인하는 등 개발기간을 단축하고 있다. 또한 이들은 인도의 소프트웨어 및 정보 기술, 중국과 대만의 통신 기술, 러시아의 항공우주 분야의 기술 등 지역별로 특화된 기술을 R&D 오프쇼어링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
셋째, 신제품 개발에 필요한 제도적 규범, 그리고 문화와 언어의 차이에서 야기될 수 있는 설계기준 등 현지 시장에 대한 직접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일례로 Microsoft는 중국과 인도의 언어 요구 조건과 결부된 설계의 수정 상황, 즉 중국의 ‘전통 문자’와 ‘간체자’의 사용, 그리고 인도의 22개 공식 인정 언어에 따른 리콜 문제에 사전 대응하여 사업을 원활히 추진할 수 있었다.02
넷째, 본사 R&D 조직과의 역할 분담 및 핵심기술과의 연계 체계를 통하여 이슈에 대한 즉각적인 조치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글로벌 지역별 환경변화에 대응한 품질 개선 활동, 즉 현지의 규제나 법규 개정, 소비자의 개선 요구 등 짧은 주기의 설계 변경에도 대응할 수 있다.
우선 이러한 R&D 오프쇼어링의 장점을 간략히 정리해 보자. 첫째, 인건비 및 운영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국내 인구 구조의 변화에 의한 미래 인력 확보의 불안정성은 기업의 혁신 활동 추진에 대한 전략적 유연성을 떨어뜨린다. 그런데 해외 R&D 센터를 운영한다면 인력수급과 자원 운용의 다양성을 꾀할 수 있어, 인건비 및 운영비용 절감에 도움이 된다.
둘째, 지역별 특화 기술과 그에 연계된 시간대적인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미국 내 IT 기업들은 본국에서 당일 개발 활동을 하고, 밤사이에는 인도 R&D 센터를 통해 연계 개발 및 테스트를 진행하여 다음 날 결과를 확인하는 등 개발기간을 단축하고 있다. 또한 이들은 인도의 소프트웨어 및 정보 기술, 중국과 대만의 통신 기술, 러시아의 항공우주 분야의 기술 등 지역별로 특화된 기술을 R&D 오프쇼어링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
셋째, 신제품 개발에 필요한 제도적 규범, 그리고 문화와 언어의 차이에서 야기될 수 있는 설계기준 등 현지 시장에 대한 직접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일례로 Microsoft는 중국과 인도의 언어 요구 조건과 결부된 설계의 수정 상황, 즉 중국의 ‘전통 문자’와 ‘간체자’의 사용, 그리고 인도의 22개 공식 인정 언어에 따른 리콜 문제에 사전 대응하여 사업을 원활히 추진할 수 있었다.02
넷째, 본사 R&D 조직과의 역할 분담 및 핵심기술과의 연계 체계를 통하여 이슈에 대한 즉각적인 조치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글로벌 지역별 환경변화에 대응한 품질 개선 활동, 즉 현지의 규제나 법규 개정, 소비자의 개선 요구 등 짧은 주기의 설계 변경에도 대응할 수 있다.
해외 R&D 센터 추진 전략과 대응
일반적인 R&D 오프쇼어링의 추진 단계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전략 목표 달성을 위한 R&D 역할을 규정하고, R&D 센터의 신설 혹은 기존 활동의 확대나 부분적 이전 등 초기 운영 유형을 계획한다. 그에 따른 해외시장 대응 및 R&D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단계별 역할과 활동 범위 혹은 경영 통합에 필요한 지역 거점으로의 성장 계획에 따라 R&D 인프라(시장, 실험·테스트, 인력, 대학 및 연구기관, 협력 파트너 등)를 고려하여 그에 가장 근접한 지역을 선정한다. 또한 본사와 체계의 완전 통합, 조직의 혁신 성과 향상을 위한 다음 단계의 전개 계획을 수립한다.
여기서 해외 R&D 센터의 운영은 크게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기업이 직접 해외 R&D 센터를 설립하여 운영하는 형태(표1-①), R&D 가치사슬의 부분 혹은 전체를 위임하는 형태(표1-②), 연구개발 활동을 공동으로 수행하는 형태나(표1-③), 그 외 현재 기술의 검증, 소비자 요구 사항의 파악을 위한 일시적 활동 등(표1-④)의 네 가지이다.
표1 해외 R&D 센터 운영 유형
그러나 한 연구에 의하면, 디자인이나 R&D, 생산·마케팅·영업(전방, Downstream) 기능은 각 기능의 전체 활동 영역 비중에 대한 최소한의 조직 적응력 유지 확률이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점차 하락할 수 있다고 한다. 그러므로 협력이나 기술·사업 역량, 의사소통 등 관리와 조직 적응력이 전체 활동 영역 중 효율과 효과성 제고를 위한 최적의 범위(15~30%, 디자인 기능 제외)에서 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는 점은 고려해야 한다(그림1).03
그림1 R&D 오프쇼어링(Offshoring)과 조직 적응력

<ELISABETH BAIER, CHRISTIAN RAMMER, TORBEN SCHUBER. “The Impact on Innovation Off-shoring on Organizational Adaptability.” HBR.ORG>
그림2 기업의 글로벌 R&D 전략적 선택 방안 사례
첫 번째 방안은, 자원이 충분하거나 해당 국가/지역에 별도의 전략적 거점을 이미 확보한 상황에 해당한다. 이때에는 직접투자를 통해 해외지역본부로 운영하는 방안이 본사 및 현지 본부와의 협력이나 업무의 조정, 지식 내재화 측면에서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이다(그림2 A영역).
두 번째 방안은, 내부 자원이 충분하지 않거나 전략적 목표가 명확하지 않은 상황에 적용할 수 있다. R&D 가치사슬의 일부를 아웃소싱 하거나, 현지 공급망 관리와 마케팅을 위하여 대리점 및 제휴 파트너 등을 활용하는 방안이 있다. 이를 통하여 시장개척, 제품 현지화를 위한 개발, 혹은 태동 기술의 센싱 등 기반을 구축할 수 있다(그림2 B영역).
세 번째 방안은, 효과적인 종합 추진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다. 자체 투자 이외의 모델들에 대하여 동시다발적으로 추진할 수도 있고, 각 기업의 장단점과 시너지 효과에 따라 투자 대비 예상 성과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을 찾아 종합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다만, 이 방법은 추후 관리가 복잡하고 성과와의 연계성을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어 유의해야 한다(그림2 C영역).
성과 향상을 위한 오프쇼어링의 고려 Point
기업의 지속 성장에 따른 R&D 오프쇼어링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를 고려해야 한다. 첫째, 해외 R&D 센터의 운영에 대한 기업의 장기적 목표 및 전략적 목적을 명확히 해야 한다. 해외 R&D 센터 운영의 목표 및 목적으로는 비용 절감, 기술력 확보, 시장 대응 등이 있을 수 있다. 즉, 기업은 전략 수립 과정에서 시장의 성장 가능성과 인력 확보 및 교육 등 다양한 사업 환경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조망하고, 각 기능의 역량 강화 체계를 계획하여야 한다.
셋째, 본사나 다른 글로벌 R&D 센터와의 협업 및 체계 통합을 중시해야 한다. 글로벌한 전사적 자원 활용을 위해서는 해외지역 내 의사소통과 시장·기술 정보의 Know-how를 기업의 자산으로 재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해외 R&D 센터에 자율성을 부여하고 지속적인 발전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해외 R&D 센터의 진화는 외부 환경뿐 아니라, 기술력 향상을 위한 자체적인 ‘자율성’의 영향을 받는다. ‘자율성과 책임’은 조직의 창의성을 북돋는다. 결국은 해당 시장과 지역에서 다양한 아이디어와 신기술 창출을 유도하여, 기회 창출을 위한 성장동력으로써 핵심 역할을 담당할 자생력을 가지게 할 것이다.
01 Challenges and Strategies for Offshoring R&D to Emerging Countries: Evidence from Foreign MNCs’ R&D Subsidiaries in India, Dhruba Jyoti Borah, 2019
02 Microsoft in China and India, 1993-2007. Khanna, T. and Choudhury, 2007. Harvard Business School
03 Don’t Offshore Your R&D, Walter Frick, January 24, 2014, Harvard Business Review
- Vol.470
25년 03/04월호